[스크랩] 해도 해도 너무한 한국 바둑
9단 입신(入神) : 바둑에 관해서는 신의 경지에 이르렀다.
8단 좌조(坐照) : 앉아서도 삼라만상의 변화를 훤히 내다볼 수 있다.
7단 좌조(坐照) : 구체(具體) : 모든 조건을 두루 갖추어 완성에 이른다.
6단 통유(通幽) : 바둑의 그윽한 경지에 이른다.
5단 용지(用智) : 전투, 기교를 떠나 지혜를 쓸 줄 안다.
4단 소교(小巧) : 간단한 기교를 부릴 줄 안다.
3단 투력(鬪力) : 비로소 싸우는 힘을 갖춘다.
2단 약우(若愚) : 일견 어리석어 보이지만 나름대로 움직인다.
초단 수졸(守拙) : 졸렬하나마 제 스스로는 지킬 줄 안다.
대한민국의 대표 천재 기사 4인
조훈현 9단
별명
불사조, 제비, 전신 등
특기사항
◆ 전관왕 3회 기록(80년 9관왕, 82년 10관왕, 86년 11관왕).
◆ 최우수기사 통산 8회(78~83년 6년연속, 89년, 94년)
◆ 1994년 세계대회 사이클링히트 달성(90년 응씨배,94년 후지쯔배, 동양증권배 우승)
◆ 1,000승 달성(95년)
◆ 타이틀전 최다연패 기록 보유 : 패왕전 16연패(77년 13기~93년 28기)
유창혁 9단
별명
세계 최고의 공격수, 일지매 등
특기사항
◆ 세계대회 그랜드슬램 달성(1993년 후지쯔배, 1996년 응씨배, 2000년 삼성화재배, 2001년 춘란배, 2002년 LG배)
◆ 1984년 세계아마바둑 선수권 준우승. 입단
이창호 9단
별명
신산, 돌부처, 고수의 환생 등
특기사항
◆ 조훈현 9단 문하.
◆ 세계최연소타이틀획득(13세, 제8기 바둑왕전)
◆ 최연소 세계챔피언(17세, 제3기 동양증권배).
◆ 통산최다대국(1989년, 111국). 통산최다연승(41연승). 통산최고승률(78승 12패, 86.7%). 통산최다승(90승). 국내16개기전 사이클링히트 달성(1994년, 제18기 기왕전 우승). 최다관왕 기록(13관왕).
◆ 문화체육부에서 은관문화훈장(2등급) 서훈(1996년).
◆ 5년연속 최우수기사(1995년~99년).
◆ 그랜드슬램 달성(2003년, 제4회 춘란배 우승)
◆ 2008년 2월 5일 현재 통산 135회 우승(비공식 기전인 타이다배와 세계최강결정전 포함)
이세돌 9단
별명
불패소년, 강철인간, 쎈돌 등
특기사항
◆ 권갑용 6단 문하.
◆ 국내 두번째 형제기사(이상훈 6단의 친동생)
◆ 2003년 3월 6단 승단.(제7회 LG배 우승으로 3단 승단)
◆ 2003년 5월 7단 승단.(제2기 KT배 준우승으로 1단 승단)
◆ 2003년 7월 9단 승단.(제16회 후지쯔배 우승으로 3단 승단)
◆ 중국갑조리그 2004~2008년 출전
중국 일본 같은 나라에서 한번 나올까 말까할 바둑천재들이
어떻게 이렇게 세대교체가 필요할 시점에서 딱딱 나오는지
양궁, 쇼트트랙 그리고 바둑은 한국이 너무 넘사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