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구 기술 용어 해설
성 명 : 강 승 호
현재 생활체육이란 테두리에서 탈피와 세계화의 발전에 발맞추어 족구(BOUND
KICK VOLLEYBALL)의 용어 정착에 대한 소견을 정리해 본다.
우선 VOLLEYBALL의 사전적 의미는 경기중 공이 바닥에 바운드가 되지 않
은 상태에서 공격행위가 이루어지는 형태의 종목을 표현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2002년 12월부터 공히 적용하고 있는 현재 최강부의 3텃치2바운드 즉 노
바운드에 의한 공격형태가 VOLLEYBALL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우리 족구
에도 적용하기가 적합한 규정인 듯 하다.
또한 한국의 민족적 역사를 자랑하는 국내유일민족 구기종목인 족구에있어 가
장 중요시 해야할 기술용어에 대한 민족고유 및 세계화에 걸맞는 명칭이 오랜 족
구역사에도 불구하고 아직 정착되어 있지 못함이 아쉽다.
먼저 족구의 핵심적인 기술이라 함은 공격기술(Attack Technical), 수비기술
(Defens Technical),기타 전술등이 있으나 그중 단연 족구의 묘미는 변화무쌍한
공격기술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인은 공격의 여러 변화무쌍하며 여러 능력을 요구하는 기술에 대한
용어 정립부터 하고자 한다.
족구의 공격기술은 크게 발안축 공격기술(Foot Inside Kick), 발등 공격기술
(Foot Back Kick), 발끝 공격기술(Fool Toes Kick)등 3가지로 분류가 된다. 그
외 가위차기 공격기술(Scissors Kick), 공중회전 공격기술(Over Head Kick)
등의 기술이 있으나, 이두가지 기술은 공격행위를 위한 준비동작이 상이한 기술
이므로 어느 부위를 이용하여 공격을 가하느냐에 구분을 두고자 한다. 또한 기본
공격기술을 응용하여 여러부위와 형태의 공격에 따른 구분을 할 수가 있다.
다양한 공격부위와 공격형태에 따른 용어를 살펴보면 다음의 표와 같다.
2 - 1
(표 - 1)
기 술 명 |
세계 통용어 |
소 분 류 | |
후려 차기 |
Thrashing Kick |
발등 후려차기 |
Foot Back Thrashing Kick |
안축 후려차기 |
Inside Thrashing Kick | ||
발끝 후려차기 |
Fool Toes Thrashing Kick | ||
돌려 차기 |
Turning Kick |
발등 돌려차기 |
Foot Back Turning Kick |
안축 돌려차기 |
Inside Turning Kick | ||
발끝 돌려차기 |
Fool Toes Turning Kick | ||
비틀어 차기 |
Twist Kick |
발바닥 비틀어차기 |
Foot Sole Twist Kick |
발목 비틀어차기 |
Ankle Twist Kick | ||
발날 비틀어차기 |
Foot Blade Twist Kick | ||
밀어 차기 |
Pushing Kick |
발바닥 밀어차기 |
Foot Sole Pushing Kick |
뒤축 밀어차기 |
Back Sole Pushing Kick | ||
낚어 차기 |
Hooking Kick |
뒤축 낚어차기 |
Back Sole Hooking Kick |
발날 낚어차기 |
Foot Blade Hooking Kick | ||
발바닥 낚어차기 |
Foot Sole Hooking Kick | ||
찍어 차기 |
Impress Kick |
발등 찍어차기 |
Foot Back Impress Kick |
안축 찍어차기 |
Inside Impress Kick | ||
발끝 찍어차기 |
Fool Toes Impress Kick | ||
감아 차기 |
Roll Kick |
안축 감아차기 |
Inside Roll Kick |
발등 감아차기 |
Foot Back Roll Kick | ||
바깥 차기 |
Outer Kick |
발등 바깥차기 |
Foot Back Outer Kick |
공중돌려차기 |
Over Head Kick | ||
가위 차기 |
Scissors Kick |
기본 공격기술에서 여러 가지의 응용기술은 이외에 더 많은 기술들이 현재 사
용되고 있다. 허나 현재 족구기술중 공격기술은 너무나 많은 편법응용기술들이 존재하여 본인의 연구결과로는 명시할수 없음이 안타까울 뿐이다.
그렇다면 다음으로 위의 여러 공격형태를 사용하는 기본동작은 어떻게 되는지 구분을 하여 보면 다음의 표와 같다.
2 - 2
(표 - 2)
기 술 명 |
기 술 설 명 |
발등 후려차기 Foot Back Thrashing Kick |
① 족구의 기본 공격방법으로 발안축(복숭아뼈에서 아래로 손가락 한마디 사이)를 이용하여 목표물을 향해 원이동을 시키며 차는 방법이다. ②장점으로 한가지 자세에서 다양한 각도의 공격을 할수 있다. |
안축 후려차기 Inside Thrashing Kick |
①강력한 공격방법으로 경기중 가장 안정적인 공이 위치하였을 때 사용하는 공격기술로 안측 후려치기와 같은 동작이며, 안정적인 공격을 위해 상체를 많이 숙이고 발을 원이동을 시킨다. ②강력한 공격력을 자랑하는 대신 정확도에 대한 상당한 훈련이 필 요하며, 타격 부위에 대한 정확도를 요구하므로 실점 확률이 높다. |
발끝 후려차기 Fool Toes Thrashing Kick |
①성공시 지면과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바운드가 거의 되지 않고 상 당한 속도에 의한 공격이 이루어지므로 후려치기 기술중 성공시 가장 득점확률이 높다. ②발끝으로 타격을 하므로 네트선상의 동일한 높이에서 원이동을 하여 휘두르며, 발의 스윙각을 최대한 수평이 되도록 한다. ③공의 정중앙 부위를 발끝으로 가격해야 하므로 상당한 정확도가 요구된다. |
안축 돌려차기 Inside Turning Kick |
①앞발의 축이되는 발에 체중을 실으면서 차는 무릎을 순간적으로 몸 안쪽으로 원이동을 시키다. ②축이 되는 다리의 무릎을 펴서 앞축으로 몸의 회전이 잘 되게한다. ③이동작은 반드시 발 모양이 위에서 아래로 내려찍는 형태가 되어야 한다. ④순간적인 회전기술이 들어가므로 상대수비수의 자세를 흐트러 트리는데 효과가 있다. |
발등 돌려차기 Foot Back Turning Kick |
①안축 돌려차기와 같은 요령이며, 안축보다는 더욱 안정적인 자세를 위해 상체를 최대한 숙인 상태에서 돌려차기를 한다. ②안축차기에 비해 공의 바운드위력은 뛰어나나 예비동작의 한계에 의한 상대수비가 미리 동작을 취하기가 쉽다. |
발끝 돌려차기 Fool Toes Turning Kick |
①돌려차기의 같은 요령이며 발끝 돌려차기는 순간 팽이가 돌 듯이 가격하는 발을 곧게펴고 순간적인 원이동을 한다. ②높은 바운드와 공의 스피드를 높일수 있다. |
2 - 3
발바닥 비틀어차기 Foot Sole Twist Kick |
①최초 후려차기와 돌려차기와 같은 자세로 시작하여 다시 오른쪽또는 왼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무릎을 뻗으며 발바닥으 로 공의 상단부위를 긁듯이 스친다. ②몸의 방향또한 무릎을 뻗으며 반대방향으로 튼다. ③상대방이 미리 읽고 이동을 할 경우 역동작에 걸리는 공격 이므로 성공시 득점확률이 매우 놓다. |
발목 비틀어차기 Ankle Twist Kick |
①후려치기와 같은 자세에서 시작을 하여 축이되는 무릎을 약간 구부린다. ②사용발을 뻗어 가격할즘 순간적인 발목을 틀어 몸안쪽으로 꺽어 공격을 한다. ③돌려차기와는 다른 순간적인 발목공격이므로 연타를 잡기위해 들어오는 수비수를 혼동시키며 깊은 각도로 공격을 가할수 있다. |
발날 비틀어차기 Foot Blade Twist Kick |
①발바닥 비틀어차기와 같은 동작에서 시작하여 공격시 발바깥 날을 위용하여 공격한다. ②발날을 사용하기위해 축이되는 무릎은 낮게 굽히고 공격기술 을 사용한다. ③발바닥 비틀어차기보다 힘이 실리며 바운드를 이용한 공격도 가능하다. |
발바닥 밀어차기 Foot Sole Pushing Kick |
①축이되는 발의 무릎은 약간 구부린후 앞발을 들어 가슴에서 부터 정면으로 곧게 뻗는다. ②공의 하단부위로부터 상단부위로 발바닥을 사용 미는 형태의 공격으로 힘은 실리지 않으나 공의 회전과 빈공간을 공략하 는데 효과적이다. |
뒤축 밀어차기 Back Sole Pushing Kick |
①발바닥 밀어차기와 같은 자세로 공의 상단부위를 발 뒤축을 이용하여 힘있게 가격한다. ②발바닥보다는 힘이 실리며 예측된다 하더라고 빈공간을 공략 하는데 효과적이다. |
뒤축 낚어차기 Back Sole Hooking Kick |
①후려치기를 시도하려는 순간 공이 네트를 넘을 우려가 생길 경우 발뒤축을 이용 공을 낚아채듯이 사용하는 공격법이다. ②앞발을 순간적으로 바깥쪽으로 접어치는 방법이다. |
발목 낚어차기 Hooking Kick |
①발목꺽어차기와 비슷하나 이는 뒤축낚어차기와 같이 공이 네트상단부위를 지나칠 우려가 있을 경우 시도하는 공격법 이다. ②역시 힘은 실리지 않으나 상대수비의 자세를 흐트러 트리는 효과가 있다. |
2 - 4
발날 낚어차기 Foot Blade Hooking Kick |
①공을 자신의 정면부위에서 쭉뻗으며 긁듯이 스치는 공격법으 로 앞발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스치듯이 이동시킨다. ②공의 역회전으로 효과를 얻을수 있다. |
안축 찍어차기 Inside Impress Kick |
①우선 순발력이 필요하며, 체공이 가장높은 타점에서 앞발을 후려치기와 같은 방법으로 최대한 높이 들어올린다. ②축이되는 무릎을 곧게 펴고 가격시 발모양이 위에서 아래로 거의 수직에 가까운 이동을 시킨다. ③높은 바운드를 이용하여 상대수비수의 직선 및 대각으로 뒤쪽 으로 보내는 효과를 얻을수 있다. |
발등 찍어차기 Foot Back Impress Kick |
①안축찍어차기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하며 발등을 사용하기 위 해 상체를 최대한 축이되는 발쪽으로 숙이며 수직이동을 시킨 다. ②발안축보다 높은 바운드 효과를 낼수 있다. |
발끝 찍어차기 Fool Toes Impress Kick |
③발등찍어차기와 같은 방법으로 팽이와 같이 몸을 회전시키며 사용한다. ④순간적인 이동으로 상대 수비수가 자세를 예측하기 어렵다. |
안축 감아차기 Inside Roll Kick |
①안축 돌려차기와 같은 방법으로 공의 가격부위를 정면에서 상 단부위로 안축을 이용 감아차는 방법이다. ②감기는 공의 회전력에 의해 장거리의 체공을 유도할수 있다. |
발등 찍어차기 Foot Back Impress Kick |
①안축 감아차기와 같으며,발등을 이용하기 위해 상체를 더욱 낮게 숙인다. ②축이되는 발의 스프링과 같은 역할이 필요하다. |
발등 바깥차기 Foot Back Outer Kick |
①네트를 등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공격법이다. ②축이되는 무릎을 살짝구부린후 앞발은 뒤축찍어차기와 같은 방법으로 힘을주어 가슴쪽으로 이동을 시킨다. ③발등을 이용 공의 정면부위를 가격하는 방법으로 공의 위력 보다는 공격의 방향을 예측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②축이되는 발의 스프링과 같은 역할이 필요하다. |
중간에 언급하여 이외의 족구기술은 상상하지 못했던 기술들이 속속 개발되어 나온다. 이는 흡사 우리 고유민족의 유산인 제기차기와 이미 세계의 스포츠로 자리잡은 태권도의 용어와 사뭇 비슷함을 느낀다.
현재 엘리트체육의 경우 계속적인 발전보완을 위한 각계 각층의 자료분석과 개발에 대한 노력들에 투자를 게을리 하지 않는다.
우리족구도 계속되는 노력과 연구개발로 세계화의 물결을 타는 날이 멀지 않았기를 바라며, 아주 조금이나마 이러한 자료가
보탬이 되어 민족화와 세계화의 발판이 되었으면 한다.
2 - 5
참고적으로 족구에서 우리 신체의 두다리는 중심을 잡아 서기와 이동 몸 옮기기,돌기 ,몸낮음과 높임, 높이기 등을 할 수 있다.
또 발다가의 적은 여러개의 부위에 따라 날카로운 공격력으로 사용하며 긴부분은 이동하기에 사용한다.
발은 기술은 손이나 주먹의 기술과 같이 빠른 동자과 유연성이 좋이 않으므로 발을 주로 사용하는 종목이니 만큼 기타 필요한
수련이 요구된다. 더욱이 공격을 할때나 수비를 할때 한 발로 중심을 유지해야 하므로 불안하며 중심이 잡히지 않아 공격이
실패하기도 하고 수비에 실패하기도 한다.
또한 순간적인 행동이 절실히 필요한 운동이니 만큼 개인적인 수련을 게을리 하여서는 않되고 최고의 경기를 위해 개인적 몸 관리 또한 필수적이다 본다.
(표 - 3) 부연설명 : 각 부분별 명칭 설명
명 칭 |
부 분 |
사용 범위 |
안축(발날등) |
복숭아뼈 아래부분을 말하 며 부위로는 발뒤축부터 앞 축까지 |
후려차기, 돌려차기, 찍어차기, 감아차기 공격에 사용 |
뒤축 |
발바닥의 뒷부분 |
밀어차기, 낚어차기공격에 사용 |
발끝 |
발가락을 똑바로 편 앞부분 |
후려차기, 돌려차기, 찍어차기, 감아차기, 깍어차기공격에 사용 |
발바닥 |
발바닥 전체부분 |
비틀어차기, 밀어차기, 낚어차기, 깍어차기 공격에 사용 |
발날 |
발바닥과 발등의 모서리로 뒤축부터 새끼발가락까지의 부분 |
비틀어차기, 낚어차기, 깍어차기공격에 사 용 |
발등 |
발의 윗부분이며 발가락 부터 발목까지의 부분 |
후려차기, 돌려차기, 찍어차기, 감아차기 공격에 사용 |
- 끝 -
'재미있는 족구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등외각찍어차기" (0) | 2008.10.05 |
---|---|
[스크랩] 안축차기에 중요성을 .... (0) | 2008.09.09 |
[스크랩] 그동안 족구하면서 생각한 몇가지 자료 (0) | 2008.08.07 |
김현욱 - 현대족구의 수비법 (0) | 2008.04.24 |
조병수 - 재미있는 족구이론 (1999년) (0) | 2008.04.18 |